춘분은 말 그대로 '봄의 분기'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3월 20일경에 찾아옵니다. 이 날은 해가 남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동일해지는 때를 말합니다.
이날은 음양이 서로 반인만큼 낮과 밤의 길이가 같고 추위와 더위가 같은 것이 특징입니다. 춘분을 전후하여 농가에서는 봄보리를 갈고 봄 농사를 시작하고 담도 고치고 들나물을 캐어먹는다고 합니다.
춘분은 봄이 시작되고 자연의 생명력이 새롭게 돋아나기 시작하는 시기로, 농사일과 봄철 작물의 싹이 돋아나는 시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가정에서는 가족들이 모여 복을 빌며 한 해 동안의 풍요로운 농사를 기원합니다.
춘분은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 등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서도 중요한 절기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대개 날씨가 따뜻해지고 꽃들이 피어나기 시작하여 자연과 함께 봄을 맞이하는 기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춘분은 봄의 시작과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며, 사람들은 이 기쁜 시기를 기다려오곤 합니다.
춘분 언제?
24절기의 네 번째 절기인 춘분은 경칩과 청명의 중간에 드는 절기로 양력 3월 20일 전후, 음력 2월 무렵에 듭니다. 이날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 점, 곧 황도와 적도가 교차하는 점인 #춘분점에 이르렀을 때, 태양의 중심이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추어, 양이 정동에 음이 정서에 있으므로 춘분이라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날짜는 해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정확한 날짜는 해마다 천문학적인 계산을 통해 결정됩니다. 춘분은 한국의 전통적인 명절 중 하나로, 봄철에 찾아오는 절기를 말합니다. 이때 해가 남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동일해집니다. 춘분은 봄의 시작과 함께 자연의 생명력이 활발해지는 시기로 여겨지며,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시작과 희망을 기대하며 춘분을 맞이합니다.
춘분 풍습
춘분에는 날씨로 그 해 농사가 풍년일지 흉년일지를 점쳤다고 합니다. 춘분에 비가 내리면 병자가 드문 해로 여겨졌습니다. 어두워 해가 보이지 않는 것이 좋으며 해가 뜰 때 정동쪽에 푸른 구름 기운이 있으면 보리에 적당해 보리 풍년이 든다고 믿기도 하였습니다. 반면, 구름 없이 청명하면 열병이 들어 만물이 자라지 못한다고 하였습니다.
이날 동풍이 불면 보리 값이 내리고 보리 풍년이 들며, 서풍이 불면 보리가 귀하고, 남풍이 불면 오월 전엔 물이 많고 오월 뒤엔 가물며, 북풍이 불면 쌀이 귀하다고 믿었습니다.
이 밖에 운기를 봐 청(靑)이면 충해(蟲害), 적(赤)이면 가뭄, 흑(黑)이면 수해, 황(黃)이면 풍년이 된다고 점을 치곤 했습니다.
춘분에 이루어지는 행사
춘분에는 다양한 놀이와 행사가 있습니다. 이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풍습과 행사가 이루어집니다:
1. 농악과 춤: 춘분에는 농악과 춤이 많이 이루어집니다. 전통적인 농악인 판소리나 탈춤, 굿을 비롯하여 무용이나 농악 연주 등이 펼쳐지며, 사람들은 이를 감상하고 즐깁니다.
2. 꽃구경: 춘분은 봄의 시작을 의미하므로, 다양한 꽃들이 피어나는 시기입니다. 이에 많은 사람들이 꽃구경을 즐기기 위해 산, 공원, 정원 등을 찾아다니며 아름다운 꽃들을 감상합니다.
3. 향토놀이: 지역별로 전해져 내려온 향토놀이가 춘분에 열리기도 합니다. 각 지역의 특색을 담은 놀이들이 펼쳐지며, 사람들은 이를 관람하고 참여하여 즐거운 시간을 보냅니다.
4. 시장과 축제: 춘분에는 다양한 시장과 축제도 개최됩니다. 이는 지역마다 다르지만, 농산물이나 공예품 등을 판매하는 시장이 열리거나, 전통적인 축제가 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5. 야외 활동: 춘분에는 날씨가 따뜻해지고 자연이 활기를 찾기 때문에 야외 활동이 활발해집니다. 가족들이 함께 산책이나 소풍을 떠나거나, 야외에서 놀이나 스포츠를 즐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외에도 지역에 따라 다양한 놀이와 행사가 열리며, 사람들은 이를 통해 봄의 시작과 함께 새로운 에너지를 느끼고 즐겁게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춘분과 관련된 속담
춘분과 관련된 속담을 알아볼까요?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이 속담은 3, 4월의 이른 봄에도
날씨가 얼어 죽을 정도로 매우 춥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속담입니다!
‘이월 바람에 검은 쇠뿔이 오그라진다’
이 속담은 2월에 부는 바람이 검은 암소의 뿔을
오그라뜨릴 정도로 매우 세고 차다는 뜻입니다.
봄은 다가오지만 바람은 강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속담이랍니다~!
춘분에 먹는 음식들
1. 나이떡
선조들은 이날을 '나이떡 먹는 날'이라 불렀다. 나이떡은 송편과 유사한 음식인데 온 식구가 모여 앉아 나이 수대로 떡을 먹었습니다.
날이 풀리는 춘분이 다가오면 추운 겨울에 휴식을 취하던 머슴들을 불러 일 년 농사를 부탁하곤 했는데, 이때 이들에게 푸짐하게 준비해 대접했던 것이 '머슴떡'입니다.
송편과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나이대로 나눠 먹었다고 해 '나이떡'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어린아이들은 크게 빚어서, 어른들은 작게 빚어서 나이 수만큼 먹었다고 합니다. 특히 양반들은 마을의 머슴들을 불러 모아 일 년 농사를 부탁하며 나이떡을 나눠 먹었기 때문에 ‘머슴떡’으로도 불렸다고 합니다.
2. 볶은 콩
춘분에는 볶은 콩을 먹기도 했습니다. 겨우내 먹을 것이 없던 사람들은 콩을 볶아 먹을 수 있는 이 날을 기다렸다고 알려졌습니다. 볶은 콩을 먹으면 새와 쥐가 사라져 곡식을 축내는 일이 함께 사라진다고 믿기도 하였습니다. 저지방 고단백 식품인 콩은 면역력이 약해지기 쉬운 봄철 도움이 되는 음식입니다. 사포닌 성분이 풍부해 비만과 성인병을 개선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특히 쥐눈이콩에는 이소플라본이라는 항암 효능이 있는 성분이 일반 콩과 비교해 5~6배 이상 함유돼 있어 매우 뛰어난 영양성분이 들어 있습니다.
3. 봄나물
봄나물을 먹으며 겨우내 부족했던 비타민을 공급해주기도 했다. 봄기운이 물씬 풍기는 춘분엔 산과 들에 쑥, 냉이, 달래 등 봄나물이 고개를 든다. 우리 조상들은 혈액 속 노폐물을 제거해 혈액순환을 돕는 쑥,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해 소화기관과 면역력에는 제격인 냉이, 달래 등을 캐 섭취하며 건강을 챙겼다.
춘분에 관한 이야기들
음력 2월중에는 바람이 많이 분다. “2월 바람에 김칫독 깨진다.”,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2월 바람은 동짓달 바람처럼 매섭고 차다.
이는 풍신(風神)이 샘이 나서 꽃을 피우지 못하게 바람을 불게 하기 때문이라 한다. 그래서 ‘꽃샘’이라고 한다. 한편, 이때에는 고기잡이를 나가지 않고 먼 길 가는 배도 타지 않는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일꿈 해몽 사과꿈 딸기꿈 배꿈 포도꿈 과일을 선물받는 꿈 (1) | 2024.02.13 |
---|---|
돼지꿈 해몽 (0) | 2024.02.13 |
경칩 뜻 풍습 속담 날짜 개구리 (1) | 2024.02.11 |
자취방 꿀팁 자취 필수템리스트 완벽 정리 자취방 체크리스트 (1) | 2024.02.11 |
똑똑하게 자취방 구하기 집구하기 체크리스트 (2) | 2024.02.11 |